카테고리 없음

(주) 후성 - 예상 상승주

부자아빠93 2021. 1. 11. 19:12

 

 

 

(주) 후성

불소계열 소재 특화 기업으로 크게 4가지 사업을 영위 하고 있다

1. 냉매

2. 반도체 특수가스

3. 2차전지 소재

4. 무기불화물

 

 

 

 

 

 

2021년의 후성의 실적이 기대된다 - 2차전지 관련주

후성은 중국 난퉁에 약 1천억원을 투자해 전해질 생산 공장을 증설했다

기존 400톤에서 3800톤으로, 국내 공장의 Capa가 연 1800톤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대규모 증설이다

2019년 2차 전지 사업부의 매출액은 총 매출액의 20%정도였으며

2020년은 공장 증설 + 코로나 이슈로 인하여 실적이 지지부진했으나

공장 증설 완료와 코로나 백신 후 경제 재게에 따라 올해 실적을 기대해 볼만 하다

 

후성은 2차 전지 공정애 들어가는 '전해질' (LiPF6)를 국내 독점으로 생산하고 있다

최근 2치전지 수혜주로 '천보'라는 업체를 자주 접했을것이다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2차전지)는 기존 LiPF6 만 사용 했을 경우 배터리의 효율이 그렇게 좋지 못하나

기존 LiPF6에 여러 첨가제를 섞으면 배터리의 효율이 높아 대게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는 전해질을 그대로 쓰지않고

첨가재를 섞어 사용한다

해당 이슈로 '천보' 라는 회사가 크게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첨가제를 섞던 안섞던 기존 전해질 (LiPF6)는 배터리에 필수로 사용되며,

앞으로 기업들에 니즈가 지속적으로 커진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 전기차 시장을 주목해야 한다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2018년 최고점을 찍은 뒤, 2019년 2020년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중국 정부에서의 전기차 보조금 상향, 전기차 구입 권유등의 정책으로 2020년 말부터 전기차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후성은 중국 최상위 전해액 업체와 JV를 설립하였다 (후성 과기)

하여 , 21년 중국에서의 전기자동차 판매 실적에 따라 후성의 실적이 꽤 좌우 될것이다

중국에서의 LiPF6의 가격은 국내대비 10~20% 저렴한 가격으로 유통되었지만 최근 수요의 급증으로인해

전해질 가격이 국내와 같아졌다. 후성에게는 큰 수혜가 될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OEM들은 어떨까?

세계적인 자동차 OEM들 또한 세계적인 변화에 같이 변화하고 있다

2020년 코로나 이슈와 함께 가장 뜨거웠던 이슈는 바로 '테슬라'가 아닐까 싶다

테슬라의 전기자동차 출시와 함께 세계적인 자동차 OEM 또한 앞다투어 전기차 모델을 선보이고 있으며

향후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애쓰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대 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2025년 이후에 내연기관차를 만들지 않겠다고 한다

이러한 점들로 미뤄볼때 향후 2차전지 관련 산업의 성장은 꾸준히 향상 될것으로 예측된다

 

 

2021년의 후성의 실적이 기대된다 - 일본 수출규제 관련주

 

후성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식각공정에 사용되는 소재인 불산을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이다

식각 공정이란 C4F6라는 반도체 에칭가스를 통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후 웨이퍼 위에 일정한 회로 패턴을 만들어주기 위해 필요없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이다

하여 일본의 한국에 대한 반도체 주요 소재 수출제한에 따라 후성이 반도체 업종에서도 수혜를 보고 있었다

2021년의 일본과의 우리나라의 상황은 어떠한가?

한마디로 정의가 가능하다 

사이가 안좋다

최근 위안부 판결 문제로 일본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하니, 21년도에도 지속적으로 수혜를 볼것으로 보인다

 

 

2021년의 후성의 실적이 기대된다 - 탄소 배출권 관련주

문재인 정권의 탄소중립과 미국 대선에서의 바이든의 승리로 인해 최근 '친환경' 관련 이슈가 한창이다

그중 탄소배출권 사업에도 후성이 있다

탄소 배출권이란, 지구 온난화 유발 및 이를 가중시키는 온실가스를 배출 할 수 있는 권리로

배출권을 받은 기업들은 해당 배출권 범위 내에서만 온실가스를 사용가능하며, 남거나 부족한 배출권은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게된다

탄소 중립 선언과, 바이든의 세계 기후 협정 재가입 승인 소식으로 인해 21년도 한해는 친환경 기업이 지속적으로 수혜를 받는 한해가 될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가 : 11,600원

목표가 : 15,000원